나는 이 논문 프리 프린트를 읽고 있으며 가우시안 프로세스 회귀에 대한 방정식의 도출에 어려움을 겪고있다. 그들은 Rasmussen & Williams 의 설정 및 표기법을 사용합니다 . 따라서 가산 성, 제로 평균, 고정 및 정규 분포 노이즈σ2noise 가정 :
y=f(x)+ϵ,ϵ∼N(0,σ2noise)
평균이 0 인 GP는 f(x), 의미하는 것은 ∀ d∈N, f={f(x1),…,f(xd)} 평균 0과 공분산 행렬을 가진 가우스 벡터입니다.
Σd=⎛⎝⎜⎜k(x1,x1)k(xd,x1)⋱k(x1,xd)k(xd,xd)⎞⎠⎟⎟
이제부터는 하이퍼 파라미터가 알려져 있다고 가정합니다. 그러면 논문의 식 (4)가 분명합니다.
p(f,f∗)=N(0,(Kf,fKf∗,fKf∗,fKf∗,f∗))
여기에 의심이 온다 :
식 (5) :
p(y|f)=N(f,σ2noiseI)
E[f]=0그러나 나는 추측한다
E[y|f]=f≠0 내가 조건을 할 때 f그런 다음
여기서 는 상수 벡터이며
만 임의입니다. 옳은?y=c+ϵcϵ
어쨌든, 그것은 식 (6)입니다.
p(f,f∗|y)=p(f,f∗)p(y|f)p(y)
그것은 베이 즈 정리의 일반적인 형태가 아닙니다. 베이 즈 정리는
p(f,f∗|y)=p(f,f∗)p(y|f,f∗)p(y)
두 방정식이 같은 이유를 이해합니다. 직관적으로 응답 벡터 는 대응하는 잠복 벡터 에만 의존 하므로
또는 는 같은 분포를 가져야합니다. 그러나 이것은 직관이지 증거가 아닙니다! 왜 그런지 보여줄 수 있습니까?yff(f,f∗)
p(y|f,f∗)=p(y|f)